2학기 7주차 2.3교시 강의 후기 > 화요 감이당 대중지성

화요 감이당 대중지성

홈 > Tg스쿨 > 화요 감이당 대중지성

서브배너_화성.png

2학기 7주차 2.3교시 강의 후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꿈조각 작성일15-06-25 09:26 조회2,380회 댓글0건

본문

2교시 미니강의
이름 모를 병사들의 이야기, 『적벽가』
 
 이번 강의는 은숙샘의 <적벽가> 가였다. 같은 조여서 그 동안 준비하는 모습과, 여러 번 고쳐가는 과정으로 애쓰시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에 더 재미있었던 것 같다. 고생하셨습니다.
 『적벽가』의 챕터 분류내용으로 강의는 시작되었다. 『적벽가』는 3권으로 나누어지는데 제1권은 의병을 모아 황건적을 토벌하는 내용과, 유비의 삼고초려, 오나라와 합병으로 조조군에 맞서는 장면. 제2권은 적벽대전 일어나기 전 상황으로 병사들의 한탄. 제3권은 적벽대전의 결전과, 조조가 패한 후 후퇴하면서 병사들에게 놀림 받는 장면이다.
 『적벽가』는 『삼국지』의 여러 전쟁 중 ‘적벽대전’을 판소리로 만들어 부른 것으로 조조가 형주를 점령하러 갔다가 2개월 동안 벌인 전쟁이다. 그러나 이 판소리의 주인공은 이 전쟁의 영웅일 것 같은 제갈공명인 아닌 무자비하게 끌려온 이름 모를 병사들이다. 이것이 다른 적벽가와 판소리 적벽가의 다른 점이다.
 
 이 판소리의 주인공답게 병사들은 생사를 넘나드는 아찔한 전쟁터에서 지금의 개콘 저리가라는 입담들을 과시한다. 전쟁터에 끌려 나오게 되는 사연들이 다 기구하다. 샘은 병사들의 사연 하나하나가 기가 막히고 슬픈 상황인데 웬 지 웃음이 나서 강의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자꾸 미안한 생각이 들었다는 것이다. 그 상황 중 한 병사의 이야기는 서른 넘어서 장가를 못가 남사당패 따라다니며 비비각시 베개노릇하고, 잡기 군 쫓아다니며 불 돋우는 잡역꾼으로 한푼 두푼 모아 돈 백을 마련해 가난한집 혼기 넘긴 처녀에게 오십 냥은 혼수품사고 사십 냥은 옷 하고 가재도구 사서 겨우 혼인한 날에 술상을 받고 저녁밥 반찬이 좋아서 저녁도 든든히 먹고, 담배 한 대 피우고 신부 들어와 신방을 치를 찬 라 잡혀왔다는 얘기다.
 또한 패전 장수인 조조의 의리 없는 행동, 상처 난 다리가 쓰라려 우산을 바치라는 둥 밥을 해서 바치라는 등의 명령에 당당히 맞서는 병사들의 이야기, 또 도망치던 조조가 관우에게 목숨을 구걸하는 장면의 이야기로 적벽가의 내용은 끝을 맺는다.
 
 강의는 이 판소리『적벽가』는 흥미진진한 전쟁 이야기만이 아니라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생각하여 어디서나 쉽고 즐겁게 익힐 수 있게 타령으로 만든 것이었고, 이는 비굴한 조조의 모습과 의리를 빛낸 관우 또 이름 모를 병사들의 진솔한 말을 통해 조선 서민들의 응어리진 마음을 풀어 주고자 했다는 것으로 마쳤다.
 
2교시는 레이먼드 카버
A SALL, MGOOD THING
 
 지희샘의 강독시간.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 편의 두 번째 시간이다. 그 동안 의 전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서 부인이 자꾸 누군가와(빵집, 환자의보호자들 의사등)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 제목의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 것과 어떤 연관이 있는 것일까? 책을 읽어갈 수록 드는 의문이다. 남은 강의로서 알 수 있을 것 같다.
 
 이번 내용을 요약하면, 그녀가 잠시 병원을 나와 집에 가서 슬러그(강아지)에게 사료 밥을 주고 차를 들고 소파에 앉았을 때, 전화벨이 울린다. 새벽 다섯시에 남자 목소리에 기계나 장비 같은 것이 작동하는 배경음이 들렸다. 전화는 ‘스코티 얘기이며, 스코티 일은 잊어버렸냐’ 는 남자의 일방적인 대화로 끊겼다. 놀란 그녀는 병원에 있는 남편에게 전화를 건다. 남편은 스코티는 그대로이고 자기가 있으니 괜찮으니 차를 마시면서 쉬라고 한다. 아침 여덟시에 의사가 오니 그 시간까지 오라고 했다.
 그녀는 두려움을 느끼면서 병원으로 다시 온다. 병원에서 어젯밤에 수술받은 흑인아이가 죽었다는 말을 들으며 병실에 도착했다. 그때 스코티는 두 눈을 뜨고 엄마와 아빠를 초점 없는 눈으로 바라본다. 앤은 몸을 굽혀 아이의 이마에 몇 번이고 입을 맞추고 두 손으로 아이의 뺨을 감쌌다. 하지만 아이의 입이 벌어지면서 두 둔이 굳게 감겼고, 폐 속에 더 이상 숨이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신음을 내뱉으며 아이는 편안해진다.
 
3교시 글쓰기 수업
3. ‘한’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라는 것이다. ‘한은 한마디로 비애의 극한 슬픔, 슬픔의 절대적 경지’ 인데 조선왕조 500년을 통 털어도 전쟁도 두 번밖에 격지 않았고 그리고 그것도 전국시대를 겪은 일본이나 이민족의 침입으로 왕조교체에 시달렸던 중국에 비해선 한이 나올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 대체 이 한은 어디서부터 온 것인지를 계보학적으로 알아보면 근대 이전에는 ‘한’ 이라는 정서는 없었는데 20세기 초 느닷없이 형성되어 역사 전체로 퍼져 나갔다는 것이며, 그 탯줄에는 ‘민족담론’이라는 것이다.
 20세기 초 우리나라는 여러 국제 환경 속에서 ‘조선’이 문을 닫으면서 ‘국혼-민족혼’이 사라지는 상태였다.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민족이라는 초월자를 내세워 응집시키려고 하는 상태였다. 그러나 이 민족은 너무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1910년 이전에는 ‘영웅’을 등장시켜 ‘영웅의 파토스’ 와 ‘피의 메타포’ 로서 민족을 보전하리라 하였다. 1910년 이후 국권을 빼앗긴 상태에서는, 잃어버린 것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영웅의 면모보다는 잃어버린 민족혼을 찾아야 하는 에로틱한 정염으로 ‘조선혼’ ‘ 내사랑’ 이라는 메타포로 전이되었다. 이렇듯 책에는‘ 근대초기에 형성된 비탄의 정서가 식민지 경험과 결합되면서, 그것이 역사 전체로 확산되어 가는 과정에서 어느 순간 자명한 진리로 전도되어 버린 것’ 이라고 나와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