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주역3] 풍천소축, 가장 높은 하늘의 도, 오직 스스로 낮출 뿐(1) > MVQ글소식

MVQ글소식

홈 > 커뮤니티 > MVQ글소식

[내 인생의 주역3] 풍천소축, 가장 높은 하늘의 도, 오직 스스로 낮출 뿐(1)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이당 작성일23-01-31 09:29 조회470회 댓글0건

본문


풍천소축, 가장 높은 하늘의 도, 오직 스스로 낮출 뿐(1)

근 영(글공방 나루)

 風天 小畜(풍천소축)

小畜, 亨, 密雲不雨, 自我西郊. 소축, 형, 밀운불우, 자아서교.

소축괘는 형통하다. 구름이 빽빽한데 비가 오지 않는 것은 내가 서쪽 교외에서 왔기 때문이다.

 

初九, 復, 自道, 何其咎? 吉. 초구, 복, 자도, 하기구, 길.

초구효, 도를 따라 돌아오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길하다.

九二, 牽復, 吉. 구이, 견복, 길.

구이효, 연결하여 회복함이니 길하다.

九三, 輿說輻, 夫妻反目. 구삼, 여탈복, 부처반목.

구삼효, 수레에 바퀴살이 빠진 것이니 부부가 서로 반목하는 것이다.

六四, 有孚, 血去, 惕出, 无咎. 육사, 유부, 혈거, 척출, 무구.

육사효, 진실한 믿음을 다하면 피 흘리는 상황에서 벗어나고 두려움에서 빠져나오니 허물이 없다.

九五, 有孚, 攣如, 富以其鄰. 구오, 유부, 연여, 부이기린.

구오효, 믿음이 있어서 여러 양들을 끌어당겨 함께하니 부유함으로써 그 이웃들을 도와주는 것이다.

上九, 旣雨旣處, 尙德, 載, 婦貞, 厲. 月幾望, 君子征, 凶. 상구, 기우기처, 상덕, 재, 부정, 려. 월기망, 군자정, 흉. 

상구효, 비가 오고 나서 그침은 덕을 숭상하여 가득 쌓인 것이니 부인이 이것을 계속 고수하면 위태롭다. 달이 보름에 가까워서 음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것이니, 군자가 움직이면 흉하리라.

그런 날이 있다. 하늘에는 먹구름이 가득한데 비는 오지 않고 바람조차 불지 않는 날. 땅은 바싹 말라 있고, 공기는 무겁게 짓누른다. 속이 갑갑하다. 언제 비가 오려나. 구름을 보면 비가 오긴 올 것 같은데…. 한바탕 비가 내리면 이 꽉 막힌 기운도 시원스레 풀릴 것이었다. 하나, 비는 올 듯 올 듯 오지 않는다. 밀운불우 密雲不雨, 구름은 빽빽한데 비는 오지 않는다. 소축괘의 때다. 

scotland-g1a0eed745_640

풍천소축, 『주역』의 아홉 번째 괘. 이 괘는 주역 안에서도 특별한 의미가 있다. 다름 아닌 문왕(文王)이 처한 시대의 때와 도이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문왕은 64괘를 지은 인물이다.문왕의 이름은 ‘창(昌)’, 당대에는 ‘서백(西伯)’이라 불렸다. 서백은 서쪽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서백이 살았던 시대는 기원전 12세기, 은나라가 중국 천하를 다스리던 시기였다. 은나라는 여러 제후국들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서백은 그중 서쪽에 자리한 제후국인 주(周)나라의 수장이었다. 머지않아 주나라는 중원의 새로운 지배자로 등극하여 500년의 역사를 이어가며 중국 문화의 원류가 될 것이었다. 이런 주나라의 기틀을 닦은 이, 하여 훗날 문왕으로 추숭되는 이, 그가 바로 서백 창이다. 

서백의 힘은 그가 가진 밝은 덕에 있었다. 의로움의 상징인 백이-숙제가 자신들을 의탁하기 위해 찾아간 곳도 서백의 주나라였다. 『사기』는 서백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오로지 어진 정치를 행하고 늙은이를 공경하며 어린이를 사랑했다. 그가 어진 사람에게는 예의와 겸손으로 대하고 낮에는 재사(才士)를 접대하기에 식사할 겨를도 없었으므로 재사들은 대부분 서백에게 몰려들었다.” (『사기본기』, 사마천, 정범진 외 역, 까치, 72쪽) 

놀라운 일이다. 노인을 받들고 어린이를 아끼며, 어진 사람을 귀하게 여기고 능력있는 사람을 보면 기뻐하다니! 어찌보면 너무나 당연한 일이어서 별반 특별해 보이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당연한 그 일들이야말로 가장 어려운 일들이 아니던가. 더욱이 우리는 당연한 일일수록 무시하고 재껴두는 경향이 있다. 잘 살기 위해서는 좀 더 그럴싸하고 신박한 것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이 험해지고 삶이 한없이 퍽퍽해지는 것은 그 당연한 일들이 당연하게 일어나지 않는 데 있다. 사람들이 주나라로 몰려들었던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 주나라, 그곳은 당연한 것이 진정 당연한 일로 이뤄지는 세상, 요컨대 천리(天理)가 펼쳐지는 곳이었다. 

brothers-g511f1c9bf_640『사기』는 서백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오로지 어진 정치를 행하고 늙은이를 공경하며 어린이를 사랑했다."

이런 서백에게도 시련이 닥쳐왔다. 아니, 정확하게 말해서 서백이 서 있던 그 시대 자체가 하나의 시련이었다. 폭군 ‘주왕(紂王)’, 중국 역사상 둘째가라면 서러운 이 폭군이 종주국 은나라의 왕이었던 것이다. 주왕은 음탕함과 잔혹함의 끝판왕이었다. 악공들에게 퇴폐적인 노래와 저속한 춤을 만들어내라고 닦달하는 것은 기본, 술로 연못을 만들고 주위에는 고기들을 빽빽하게 매달아 놓아 숲처럼 꾸며놓고는 발가벗은 남녀들을 뛰놀게 했다. 잔혹한 걸로 치차면 대표적으로 ‘포락(炮烙)’의 형벌이 있었는데, 뜨거운 불 위에 기름칠한 기둥을 놓고 그 위를 죄인들이 걷게 하는 형벌이었다. 죄인들은 뜨겁고 미끄러운 기둥 위에서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버둥대다가 불 속에 떨어져 죽음을 맞이했다. 그러면 주왕은 한껏 흐뭇한 미소를 지었다.  

이런 일도 있었다. 은나라에는 병권을 관장하는 세 명의 제후가 있었다. 구후, 악후, 그리고 서백. 언젠가 구후라는 제후가 주왕에게 자신의 딸을 바쳤는데, 아니나 다를까, 주왕은 그녀에게 음탕한 짓을 강요했다. 그런데 그녀가 이를 거절하자 주왕은 화가 머리끝까지 나서는 그녀를 죽여버렸다. 그러고도 분이 풀리지 않았는지, 구후를 데려다가 죽여서는 포를 떠 소금에 절여버렸다. 이 모습을 본 악후는 주왕에게 강하게 항의했지만, 그 바람에 악후는 구후와 같은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 

서백은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 이 모든 일들을 그저 지켜볼 뿐이었다. 홀로 내뱉는 한숨과 한탄 밖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아니! 이 시대는 그것조차 용납되지 않았다.  한 제후가 서백의 그 모습을 주왕에게 고했던 것이다. 주왕은 서백을 유리의 감옥에 가두어버렸다. 

saad-chaudhry-AqHIWSsF24I-unsplash

유리옥에서 서백은 7년을 갇혀 있었다. 7년…서백은 어떤 마음이었을까. 억울하고 분했을까? 두렵고 절망스러웠을까? 우리가 대략 짐작할 수 있는 건 이 정도가 아닐까. 물론 그도 억울하고 분하고, 두렵고 절망스러웠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것에만 머물러있지 않았다. 유리옥에서 그가 한 일, 그것은 64괘를 짓는 일이었다. 엄혹한 시절, 천리가 끊어질 것을 염려하는 마음이었다고 한다. 그 마음이 뭔지 알 것 같다고는 감히 말하지 못하겠다.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하다. 불안과 두려움을 통과하는데 천리를 탐구하는 일보다 더 좋은 길은 없다는 것. 삶의 막다른 길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아니 해야 하는 일은 그것이다. 천지자연의 이치 위에 자신을 세우고, 거기서 삶의 길을 내다보기.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설령 그것이 자신의 죽음으로 결론난다 하더라도 그 순간 그것보다 더 큰 힘과 위로가 될 수 있는 건 없을 것이다. 그러니 서백은 썼을 것이다. 세상의 이치를! 천리가 펼쳐 보이는 예순네 개의 시공간을! 그렇게 서백 자신이 처한 상황 또한 그 안에 담기게 되는데, 그것이 ‘풍천소축’이다. 

풍천소축은 아래에는 하늘이, 위에는 바람이 자리한다. 하늘은 강건하게 뻗어 나가려는 기운인 반면, 바람은 아래로 들어가는[入] 공손한[巽] 기운이다. 해서 소축괘는 위로 치고 올라오려는 강건한 하늘을 바람이 그 유순함과 공손함으로 막고 있는 형국이다. 전체적인 괘의 구성을 봐도 하나의 음효에 양효가 다섯. 양의 기세가 강함을 넘어 몹시 거칠다. 요컨대 주왕의 기운이다. 이 기운을 막아 세우는 것이 신하의 자리인 4효의 음효. 한없이 자신을 낮춰 강폭한 기운을 저지하고 있는 서백의 모습이다. 

이처럼 강폭한 기운을 공손함이 저지하고, 양효의 강험한 힘을 음효 하나가 묶어두니, 작은 것[小]으로 큰 것을 길들이는[畜], 소축小畜이 된다. 또한 그 결과로 얻어지는 길들임 역시 작을 수밖에 없기에 소축으로 이야기된다. “건의 강건함은 공손함에 의해 제지당하여 길들여진다. 강건한 성질은 오직 유순한 방식으로 제지하여 길들일 수 있지만, 제지하여 길들일 수 있다고 해도 그 강건함을 견고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단지 유순한 방식으로 길들여 묶어둘 수 있을 뿐이다.” (『주역』, 정이천, 심의용 역, 글항아리, 244쪽) 

vasilios-muselimis-C9NtZAEP-RI-unsplash하늘은 강건하게 뻗어 나가려는 기운인 반면, 바람은 아래로 들어가는[入] 공손한[巽] 기운이다.

서백은 자신의 역할이 ‘작은 것’에 있을 뿐임을 알았다. 자신으로서는 주왕을 성군으로 바꿀 수도, 왕좌에서 끌어낼 수도 없었다. 왜냐하면 때가 그러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왕은 흔히들 폭군이라 하면 떠올려지는 단순무식한 인물이 아니었다. 그는 영특했고, 신체적 능력 또한 뛰어났다. “주제(紂帝)는 타고난 바탕이 총명하고 말재간이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일처리가 신속하며, 힘이 보통 사람보다 훨씬 뛰어나서 맨손으로 맹수와 싸울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지혜는 신하의 간언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였으며, 말재주는 자신의 허물을 교묘하게 감출 수 있을 정도였다.” (『사기본기』, 사마천, 정범진 외 역, 까치, 64쪽) 

(2편에서 계속)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